Professional

진솔국제특허법률사무소

2002년 창립 이래로, 진솔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기계, 전자, 화학, 의료, AI 및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특허, 상표, 디자인 관련 소송 및 심판, 특허 침해 대응, 법률 자문, 대응 특허 개발, 지식재산권 기반 컨설팅, 그리고 국내외 출원 업무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I 발명과 특허 시대, 특허 전략이 중요해진다!

2025년 03월 27일

1. AI 특허 출원의 증가와 생성형 AI 특허 출원 현황

AI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이를 보호하기 위한 특허 출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AI가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면서 기업들은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지식 재산권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도 AI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세계지식 재산기구(WIPO)에 따르면 2023년까지 10년간 AI 관련 특허 출원 건수 상위 5개국은 중국, 미국, 한국, 일본, 인도 순이며, 그 중 생성형 AI에 관한 특허 수가 5만 4000여 건 정도이고, 전체의 약 70%인 3만 8000여건이 중국에서 출원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생성형 AI(Generative AI) 분야는 최근 가장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로, 이에 대한 특허 출원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생성하는 기술로, ChatGPT와 같은 모델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러한 기술이 상용화됨에 따라 관련 특허를 선점하기 위한 위한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AI 기반 혁신을 보호하기 위해 특허 출원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 및 기업들은 AI관련 핵심 특허를 선점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대학 및 연구기관들이 생성형 AI 분야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서울대학교가 AI 관련 연구 및 특허 출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업 차원에서는 Google이 AI 특허 및 연구에서 다른 기업들보다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Google이 보유한 GPT 모델의 기초 기술인 Transformer 특허(US10,280,273 B2)와 같은 핵심 특허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OpenAI는 48개의 연구 논문을 게시하고, 11,816회의 인용을 기록하며 AI 연구 분야에서 높은 영향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거 OpenAI는 연구 결과를 주로 공개하는 방식으로 접근했지만, 최근에는 AI 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인 특허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2. AI 특허 시장의 주요 변화 – OpenAI의 특허에 대한 태도 변화

OpenAI는 자연어 처리(NLP) 모델의 핵심 기술인 Transformer 구조를 기반으로 GPT 시리즈를 발전시켜 왔으며, 이를 통해 AI가 인간과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완성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혁신은 생성형 AI 특허 출원의 증가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OpenAI 역시 최근 AI 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인 특허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과거 OpenAI는 연구 결과를 공개하는 오픈소스 접근 방식을 취했지만, AI 기술이 상업적으로 중요한 자산이 되면서 특허를 통해 기술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AI 특허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특히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한 특허 출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OpenAI의 주요 특허 목록

① 언어 모델 기반 텍스트 생성 및 최적화

  • 텍스트 생성/편집 출력 최적화 → US 11983488 B1
  • 텍스트 삽입 출력 최적화 → US 11886826 B1
  • 텍스트 기반 API 통합 → US 11922144 B1
  • 텍스트 기반 적응형 UI → US 12164548 B1

②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및 편집

  •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 US 11922550 B1
  • 텍스트 기반 이미지 편집 → US 11983806 B1

③ 멀티태스킹 음성 인식

  • 멀티 태스크 음성 인식 → US 12079587 B1

④ 코드 생성 및 임베딩

  • 텍스트 기반 코딩 → US 12008341 B2
  • 텍스트 및 코드 임베딩 생성 → US 12073299 B2

OpenAI는 위와 같은 15개의 기초 특허를 기반으로, 현재까지 미국 내 22개의 특허를 공개하거나 등록한 상태입니다.

3. OpenAI의 특허전략 변화 – 기업들은 왜 OpenAI 특허를 내기 시작했을까?

OpenAI의 특허 전략 변화는 단순한 기술 보호 차원을 넘어, AI 시장에서의 경쟁 방어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 Google이 Transformer 기초 특허를 보유 → GPT 모델이 Transformer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OpenAI는 자체적인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기술적 우위를 확보할 필요가 있음.
  • Meta의 Llama 모델과 같은 오픈소스 AI의 등장 → Meta가 Llama 시리즈를 통해 오픈소스 LLM을 확산하면서, OpenAI는 상업적 AI 모델의 차별성을 특허를 통해 보호하려는 것으로 보임.
  • 중국발 LLM(대형 언어 모델) 경쟁 심화 → Baidu, Alibaba, DeepSeek 등의 중국 기업들이 자체적인 대형 언어 모델을 출시하면서, OpenAI가 단순한 기술력만으로는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을 했을 가능성이 큼.

결국, OpenAI는 AI 기술을 특허로 보호함으로써 독점적인 기술적 강점을 유지하고, AI 기술을 먼저 등록/공개하여 경쟁사들의 기술 독점을 막는 방어적 태도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OpenAI가 어떤 방향으로 AI 특허 전략을 확장해 나갈지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강남빌딩 10층 1003호 | 대표전화 : 02-558-0688 |  팩스 : 02-558-7010
COPYRIGHT©JINSOLLAW ALL RIGHT RESERVED
crossmenuchevron-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