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essional

진솔국제특허법률사무소

2002년 창립 이래로, 진솔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기계, 전자, 화학, 의료, AI 및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특허, 상표, 디자인 관련 소송 및 심판, 특허 침해 대응, 법률 자문, 대응 특허 개발, 지식재산권 기반 컨설팅, 그리고 국내외 출원 업무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성공사례 정리 - 엔젤로보틱스

2025년 02월 03일

I. 엔젤로보틱스 회사 개요 및 연구개발 조직 구성

1. 회사 소개

1) 웨어러블 로봇 기업: 엔젤로보틱스는 2017년 설립된 웨어러블 로봇 기업으로 지능형 웨어러블 로봇을 연구개발, 제작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창업자: 공경철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와 나동욱 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교수가 공동으로 엔젤로보틱스를 창업했습니다. 공경철 교수는 서강대학교에서 기계공학과 및 물리학과 학사 학위 및 동 대학원에서 기계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UC 버클리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KAIST에서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고, 나동욱 교수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학사,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재활의학과 전문의 및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3) 주요 제품: 엔젤로보틱스의 주요 제품으로는 angel MEDI (재활의료 전문 웨어러블 로봇), angel GEAR (산업 용 웨어러블 로봇), angel SUIT (일상생활 보조용 웨어러블 로봇), angel KIT (모터드라이버, 스마트구동기 등 로봇 핵심부품)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국방용 웨어러블 로봇 연구개발 용역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웨어러블 로봇 시장의 특징

1) 높은 성장률: 시장은 연평균 30-40% 이상의 매우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세계 웨어러블 로봇 시장이 지난해 74억 달러(약 9조5,000억 원)에서 오는 2026년 144억 달러(약 18조5,000억 원)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내다봤습니다. 

2) 의료/헬스케어 분야의 주도: 재활, 보조기구 등 의료 및 헬스케어 분야가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3) 산업 현장 적용 확대: 제조, 물류 등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4) 기술 혁신 가속화: 경량화, 인공지능 적용, 사용자 친화적 설계 등 기술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5) 맞춤형/개인화 추세: 개별 사용자에 최적화된 맞춤형 제품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6) 다양한 기업 참여: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7) 규제 환경 변화: 의료기기 인증 등 관련 규제가 정비되고 있습니다

3. 엔젤로보틱스 연구개발 조직

1) 개요

연구개발 조직 구조

•공경철 대표이사 및 개발본부장 총괄

•개발본부: 선행기술 연구 및 신제품 개발

•인증팀: 각종 인허가 담당

•사업기획팀: 고객 요구사항 조사, 제품 및 서비스 기획

•임상개발팀: 로봇 유효성 및 사용성 평가

•디자인본부: 미래형 웨어러블 로봇 디자인

•기어사업본부: 기어 제품 및 기술 개발

연구개발 프로세스

1.고객 니즈 및 원천 기술 수집

2.임상개발팀의 사전검증

3.사업기획팀의 사업기획서 작성 및 제품 로드맵 관리

4.로봇개발팀과 디자인팀의 제품 개발

5.생산팀의 양산 및 고객 기술 지원

6.기술영업팀의 영업 및 마케팅 활동

이러한 구조와 프로세스를 통해 엔젤로보틱스는 효율적인 연구개발 및 제품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 조직

엔젤로보틱스는 개발본부 아래 기구팀(5명), 소프트웨어팀(6명), 펌웨어팀(7명), 하드웨어팀(3명)을 두고 있고, 기어사업본부 아래 기어개발팀(3명), 임상본부팀 아래 임상개발팀(2명), 디자인본부팀 아래 제품디자인팀(6명), UX디자인팀(4명) 및 사업전략본부 아래 사업기획팀(2명), 품질책임자 아래 인증팀(2명)을 두고 각 전문 분야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등 연구개발 조직을 구성하고 전문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외부기관 연구개발 협력 체계

엔젤로보틱스는 카이스트와 함께 로봇 기술 플랫폼 원천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를 협업하고, 연세대학교 의료원 등과 함께 테스트 플랫폼을 구축하고 제품을 임상 검증하는 데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서울대학교, 상명대학교, 선문대학교, 영남대학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동경대(JP), UPEC(FR), UiTM(MYR),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액트, 국민건강보험일산병원, 부산대병원, 광주보훈병원, 강원특별자치도재활병원, 서울특별시 어린이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충남대병원, 용인세브란스, 강남세브란스, 서울대국립교통재활병원, 전북대병원, 전남대병원, 서울재활병원, 삼성서울병원, 더좋은병원, 갑을구미병원, 예수병원, Daehan Rehabilitation Hospital(MYR), Hospital Al-Sultan Abdullah(MYR), 국방과학연구소 지상기술연구원,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빌리티로봇연구본부,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등 국내외의 우수한 연구 집단들과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갖추고 연구개발을 함께 진행하거나 테스트를 수행하는 등 연구개발효율을 증진하고 기술력을 인증받고 있습니다.

또한, 이를 비롯하여 엔젤로보틱스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교원 창업 기업으로 인정받고 기술 실시 계약을 통해 총 5건의 특허에 대한 국내 전용실시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4) 최근 연구개발인력 현황

엔젤로보틱스는 21년도 25명, 22년도 35명, 23년도 46명으로 계속된 연구개발분야에 대한 투자를 통해 연구개발인력이 꾸준히 늘어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46명 중 박사 학위 보유자가 7명, 박사 수료자가 2명, 석사 학위 보유자가 16명 등 전체 연구개발인력의 54%인 25명이 석사 이상의 학위 보유자로 이루어져 연구개발인력들이 각 분야의 전문가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공경철•나동욱 두 창업자는 각각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및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재활의학과 진료교수로 본인들의 전문 분야의 지식을 100% 활용하여 기술을 개발하고 엔젤로보틱스를 창업하여 전문성을 가지고 연구개발을 주도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고, 다른 주요 연구개발인력들 역시 각 분야의 학위 및 경력을 갖춘 인재들로 구성되어 있어 기술특례상장기업에 걸맞은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연구개발 인력 확보 및 유지 방안

엔젤로보틱스 역시 성장에 따라 연구개발인력의 숫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사회초년생들의 잦은 이직 성향과 관련 대기업들의 인재 확보 노력등 외부 요인으로 인한 인재 확보 및 유지에 한계가 존재합니다. 엔젤로보틱스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으로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사내 기술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직원들로 하여금 교육의 기회 제공

- 전직원에게 스톡옵션을 제공하며 오너십 부여

- 업무성과관리 IT Solution인 angel flow를 개발하여 활용하여 업무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대부분의 업무를    기록으로 남길 수 있고, 조직별 협업 관계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표시하여 직원들의 시스템에 대한 불만 해소

- angel flow를 이용하여 근태관리와 성과관리를 모두 수행하고, 각자의 성과를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      여 확실한 동기부여 제공

-우수발명 보상제도 적극적으로 시행

스톡옵션의 경우, 대부분의 직원, 미등기임원, 등기이사를 포함한 연구개발인력들에게 부여하여 우수 인재 유치 및 유지에 기여하는 한편, 임직원들의 동기 부여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현금 유출 없이도 유용한 보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엔젤로보틱스는 우수발명 보상제도를 시행하여 종업원이 회사에서 본인의 업무와 관련하여 발명을 한 경우, 해당 발명에 대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엔젤로보틱스가 승계하여 소유하고, 발명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직원들의 발명 활동을 장려함으로써 우수한 특허창출을 유도하고, 엔젤로보틱스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엔젤로보틱스는 직원들의 직무발명에 대한 지적재산권 확보를 장려하기 위해 창업 초기부터 직무발명 보상 제도를 운영해왔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엔젤로보틱스 직무발명 보상규정』 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해당 규정의 제15조에는 아래와 같이 직무발명 보상의 범위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II. 연구개발 비용

(단위: 천원)

구분  2023 3분기  2022  2021  2020  
  비용처리  인건비  1,444,734  1,630,738  859,175  794,408  
재료비/외주비  970,658  1,830,186  1,201,669  786,724  
합계  2,415,392  3,460,924  2,060,844  1,581,132  
국고보조금  (1,494,212)  (1,585,061)  (990,007)  (1,104,789)  
차감 후 합계  921,180  1,875,863  1,070,837  476,343  
매출액  3,744,252  2,184,312  813,929  208,909  
(매출액 대비 국고보조금   차감 전 연구개발비율)  64.50%  158.44%  253.20%  756.85%  
국고보조금 차감 후 비율  24.60%  85.88%  131.56%  228.01%  

엔젤로보틱스의 매출액 대비 평균 연구개발비 지출 비율은 117.51%에 달합니다. 이렇듯 높은 연구개발비 지출을 바탕으로 연구개발에서 큰 성과를 내고 있음을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II. 연구개발 주요 성과 

1. 지적재산권 보유 내역

엔젤로보틱스는 다관절 로봇의 구동장치, 로봇의 제어 방법, 착용형 로봇 및 보조 장치 등 웨어러블 로봇과 관련한 64건의 국내 특허(등록 35건, 심사 진행 29건)과 4건의 국외 특허(등록 2건, PCT 2건)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엔젤로보틱스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교원 창업 기업으로 인정받고 기술 실시 계약을 통해 총 5건의 특허에 대한 국내 전용실시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적재산권 상세 보유 내역]

구분  특허권  상표권  디자인권  라이선스  실용신안권  함계  
국내출원  29  19  13  1  1  63  
국내등록  35  33  9  4  -  81  
국외출원  2  -  -  -  -  2  
국외등록  2  -  -  -  -  2  
합계  68  52  22  5  1  148  

[국내 특허권 현황]

번호  명칭  출원인/등록권리자  출원일  등록일  적용제품  출원국  
1  보행보조토크 제어방법     및 보행보조장치  ㈜엔젤로보틱스  2011.11.21  2013.10.04  MEDI   제품군  대한민국  
2  임피던스가 조절 가능한   메카트로닉 시스템 및 메카트로닉 시스템의 기계적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제어방법  ㈜엔젤로보틱스  2013.07.03  2014.12.22  MEDI   제품군  대한민국  
…  …  …  …  …  …  …  
63  하체 보조 시스템 (H10+K10+A10)  ㈜엔젤로보틱스  2023.11.01  -  SUIT   제품군  대한민국  
64  작업자용 보조장치  ㈜엔젤로보틱스  2024.01.18  -  GEAR   제품군  대한민국  

[해외 특허권 현황]

번호  명칭  출원인/등록권리자  출원일  등록일  적용제품  출원국  
1  관절 구동기 및 이를   구비하는   하지 보조로봇의 관절구조  ㈜엔젤로보틱스  2017.09.29  2020.08.25  MEDI   제품군  미국  
2  다관절 로봇의 구동장치  ㈜엔젤로보틱스  2017.11.07  2020.10.20  MEDI   제품군  미국  
3  착용형 로봇의 하지   보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착용형 로봇  ㈜엔젤로보틱스  2023.06.08  -  MEDI   제품군  PCT  
4  전동 길이조절 링크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착용형   보조장치  엔젤로보틱스  2023.06.08  -  MEDI   제품군  PCT  

2. 국가연구개발과제 수행 내역

번호  연구개발과제명  주관부처  연구개발기간  정부출연금  관련제품  비고  
1  가정과 일상 헬스케어   시장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제품 및 서비스 플랫폼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22.04-'25.12  4,473  WaSP플랫폼  진행중  
2  착용형 보행보조로봇   및 스마트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재택 기반 보행 재활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실증  보건복지부  '23.07-'25.12  239.3  angel   SUIT,   angel   MEDI 제품군  진행중  
3  국산 착용형 보행재활   로봇(엔젤렉스)의 아세안 진출을 위한 CE 및 말레이시아 허가용 임상시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1.04-'24.06  899  angel   MEDI 제품군  진행중  
4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보조를 위한 유연한 동력전달구조를 갖는 착용형 보조기기 개발 및 제품화 연구  보건복지부  20.04-'23.12  1,049  angel   SUIT 제품군  수행완료  
  …    …    …    …    …    …    …  
17  하지근력저하 장애인과   노인의 보행재활을 위한 착용형 로봇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7.04-'18.12  -  angel   SUIT,   angel   MEDI 제품군  수행완료  
18  하지 부분마비 장애인용   착용형 로봇에 부가 가능한 유연한 발목관절 보조로봇 개발  보건복지부  '17.02-'17.11  -  angel   MEDI 제품군  수행완료  

엔젤로보틱스는 15개의 국가연구개발과제를 수행 완료하였고 3개의 국가연구개발과제를 수행 중에 있습니다.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한 경험은 연구자의 역량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며, 이는 ‘국가 연구개발 혁신법’ 및 관련 지침에서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즉 엔젤로보틱스는 국가연구개발과제 수행을 통해 도전적인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한편 연구 역량을 입증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주요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엔젤로보틱스는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의 일상생활 운동보조를 위한 전동형 외골격로봇, 웨어러블 로봇을 이용한 AI 기반 보행 분석 솔루션, 사이즈 조절형 웨어러블 보행재활 의료기기의 애플리케이션, 작업자 근력보조 '웨어러블 슈트',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보조를 위한 유연한 동력전달 구조를 갖는 착용형 보조기기, 맞춤형 KAFO 기반 모듈형 웨어러블 로봇 시제품 등의 연구개발을 완료하고 제품 상용화에 완료하였거나 진행 중에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외에도 가정용 재활훈련 운동보조 기술, 아웃도어•피트니스 웨어러블 로봇 기술 등의 연구개발을 계획 중에 있습니다.

이와 같이, 엔젤로보틱스의 연구개발에 대한 많은 투자는 연구 성과를 넘어 상용화에 성공하여 가시적인 경제적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 미래의 상업적인 성공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를 가능하게 합니다.

IV. 소결

기술특례상장 제도는 혁신적인 기술력을 가진 기업들에게 자본 시장 진입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 이 제도를 통해 우리는 연구개발능력이 기업의 성공과 지속 가능한 성장에 얼마나 핵심적인 요소인지 명확히 볼 수 있었습니다.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들은 시장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기술력과 미래 성장 잠재력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기술특례상장을 준비하는 기업들은 단순히 재무적 성과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혁신 역량 강화에 주력해야 합니다.

엔젤로보틱스는 서강대학교에서 기계공학과 및 물리학과 학사 학위 및 동 대학원에서 기계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UC 버클리에서 기계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공경철 카이스트 교수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학사,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재활의학과 전문의 및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나동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의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약 54%인 25명이 석사 이상의 학위 보유자로 이루어진 연구개발조직을 갖추고, 매출액 대비 무려 117.51%에 달하는 평균 연구개발비 지출을 통해 평균 이상의 훌륭한 연구개발능력을 갖추고 이러한 연구개발능력의 기반이 되는 인적자원을 유치 및 유지하기 위하여 스톡옵션 및 직무발명보상제도 등의 여러 수단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연구개발능력을 통해 평균적인 기업보다 훨씬 많은 수치인 64건의 국내 특허와 4건의 해외 특허를 출원 및 등록하여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약 18건의 국가연구개발과제를 수행 완료하였거나 수행 중에 있으며, 핵심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웨어러블 로봇 제품군으로 확장하고 상용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수요와 시장에 대응하는 제품 양산을 위해 제품/부품 표준화 및 모듈화를 통한 상용화 기술을 구축하고 제품/서비스 로드맵을 완성하고 연구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즉, 엔젤로보틱스는 기술특례상장 제도의 취지에 부합하는 연구개발능력을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투자를 아끼지 않는 한편, 이를 특허와 각종 연구개발 등으로 증명하여 높은 점수를 받아 기술특례상장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할 것입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강남빌딩 10층 1003호 | 대표전화 : 02-558-0688 |  팩스 : 02-558-7010
COPYRIGHT©JINSOLLAW ALL RIGHT RESERVED
crossmenuchevron-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