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창립 이래로, 진솔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기계, 전자, 화학, 의료, AI 및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특허, 상표, 디자인 관련 소송 및 심판, 특허 침해 대응, 법률 자문, 대응 특허 개발, 지식재산권 기반 컨설팅, 그리고 국내외 출원 업무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출처= 이에이트 IR Book]
1. 이에이트 회사 개요 및 연구개발 조직 구성
(1) 회사 개요
이에이트는 시뮬레이션 기반 디지털 트윈 소프트웨어를 개발·공급하는 기업입니다. 이에이트의 대표이사는 김진현이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00, 롯데월드타워 25층에 위치하고, 2012년 5월 7일에 설립되었습니다.
이에이트는 설립 당시부터 국내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이하 CFD) 분야에서 외산 소프트웨어 의존도를 줄이고 국산 CFD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에이트는 자체 개발한 입자방식 CFD 해석 소프트웨어 NFLOW를 상용화하여, 기존 격자방식으로는 해석이 어려웠던 자유표면, 다상유동, 화학반응 등의 복잡한 물리 현상을 정밀하고 고속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NFLOW는 자동차, 화학, 전기, 식품, 생활용품,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유일한 입자방식 CFD 상용 솔루션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이에이트는 디지털 트윈 통합 플랫폼 NDX PRO를 개발하여 도시, 산업, 공정 등에서 설계, 해석, 시뮬레이션,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등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NDX PRO는 세종 5-1 스마트시티와 부산 EDC 스마트시티 국가사업 등에 적용되며, 플랫폼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이외에도 이에이트는 스위스 PIX4D사와 국내 독점 총판 계약을 체결하고, 이미지 기반 3D 공간 데이터 처리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 솔루션은 NDX PRO와 연계되어 공간정보 시각화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이에이트는 의료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NFLOW Sim-Vasc라는 심혈관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개발 중입니다. 이 솔루션은 환자 맞춤형 혈류 시뮬레이션을 통해 심혈관 질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이트는 2024년 2월 코스닥 시장에 기술특례상장으로 상장하였으며, 기술평가기관 두 곳으로부터 모두 A등급을 획득했습니다. 상장을 통해 약 91억 원의 자금을 조달하였고, 이 자금은 채무상환, 연구개발, 외주용역, 마케팅, 운영자금 등에 사용될 계획입니다.
이에이트는 현재 적자가 지속되고 있지만, 스마트시티 국가사업 수행 실적과 NFLOW 및 NDX PRO의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매출 확대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산 CFD 솔루션의 기술 자립과 디지털 트윈 산업의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출처=이에이트 IR자료]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이에이트는 전산유체역학(CFD) 솔루션 개발과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을 핵심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NFLOW (입자방식 CFD 해석 소프트웨어)
NFLOW는 SPH(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및 LBM(Lattice Boltzmann Method) 이론을 기반으로, 유체의 움직임을 계산·분석·예측할 수 있는 전산유체해석(CFD) 소프트웨어입니다. 격자(Mesh) 생성 없이 입자 기반 해석이 가능하며, 대규모 병렬 연산을 적용해 수천만~수억 개 입자 시뮬레이션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NFLOW는 건축·토목, 석유화학·에너지, 항공·우주, 전기·전자, 음향장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재난재해 예측, 소음 해석, 화학종 혼합 해석 등 여러 상용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NFLOW 관련 매출액은 305,752천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1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처=이에이트 IR자료]
② NDX PRO (디지털 트윈 통합 플랫폼)
NDX PRO는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 기반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 현실 세계 데이터를 수집·연계·관리하고 3D로 시각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NDX PRO는 디지털 트윈 데이터 표준인 NGSI-LD를 적용해 범용 호환성과 시스템 간 확장성을 확보했으며, WebGL 기반의 경량 3D 스트리밍 기술을 통해 대규모 실시간 시각화도 지원합니다. NDX PRO는 세종 5-1 생활권, 부산 EDC 스마트시티 사업 등 주요 프로젝트에 적용되며 기술력을 입증했고, 건설, 교통,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NDX PRO 관련 매출은 1,203,458천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7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처=이에이트 IR자료]
③ 이미지 후처리기(PIX4D)
이에이트는 2024년 4월 이미지 기반 데이터 후처리 전문 소프트웨어 기업 PIX4D와 국내 독점 총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PIX4D 전 세계 220개국 7만 7,000여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드론, 항공, 스마트폰으로 획득한 이미지를 활용해 3D 초정밀 공간 정보를 구축하는 솔루션을 공급합니다. 특히 기존 위성측위시스템(GNSS)의 부정확성을 보완해 위성 신호가 약해 측정이 까다로운 지역의 3D 매핑도 정확하게 구현하고, AI와 머신러닝을 통해 자동 안테나 감지, 도로 자동 표시, 물체 감지, 자동 지형 필터 등 사진을 활용한 자동 3D 매핑 분야의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가지고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이미지 후처리기 관련 매출액은 114,359천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출처=이에이트 홈페이지]
2. 디지털 트윈 및 CFD 소프트웨어 시장의 특징
(1) 기존 시뮬레이션 시장(CAE, CFD)
기존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시장은 격자(Mesh) 기반 소프트웨어가 주류를 이루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Mesh를 사용하지 않는 입자 방식 시뮬레이션 기술이 등장하며 시장의 성장세를 이끌고 있습니다. 입자 기반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가 주목받는 이유는 격자 방식으로 해석의 한계를 보였던 새로운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시장 규모를 확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해석이 어려웠던 액체 자유표면 해석, 미세먼지 해석 등도 입자 방식의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전산유체역학) 기술로 가능해지며, 자동차, 화학, 전기, 식품, 생활용품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이트의 NFLOW는 기존 시장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입자 방식 시뮬레이션 기술을 적용하엿으며, GPU 기술을 활용해 빠른 해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스마트 시티 등 대규모 복잡한 해석이 필요한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시장의 주요 기업으로는 Ansys, Dassault Systemes 등이 있으며, 이들 기업은 엔지니어링과 제조 분야를 중심으로 CAE/CFD 기술 기반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에이트가 진출하려는 디지털 트윈 시장은 기존 산업이 아닌,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기술 기반의 새로운 시장(시티 트윈, 팩토리 트윈)이므로 기존 대기업들과의 직접 경쟁보다는 신규 시장 개척과 진출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2)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장
이에이트가 주력으로 삼고 있는 시장은 디지털 트윈 시장입니다. 특히 시뮬레이션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 분야에서 리딩 기업으로 자리잡고자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시장에서 시뮬레이션 기술은 이에이트의 NFLOW와 같은 핵심 요소기술로 작용하며,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와 최적화를 통해 현실세계를 가상세계에 구현하고, 가상 시뮬레이션 결과를 현실의 문제 해결과 사전 예방에 활용합니다.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기술의 가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핵심 요소기술로서 다양한 미래 산업 분야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이에이트가 주목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주요 응용 분야는 스마트 시티, 스마트 제조, 신재생 에너지, 헬스케어 등입니다. 이러한 분야는 모두 국가 차원의 핵심 육성 산업으로 지정되어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스마트 시티 분야는 도시문제, 에너지, 폐기물 관리 등을 해결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며, 스마트 제조는 제조업과 IT의 융합을 통해 산업 혁신을 이끄는 전략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에이트는 이미 세종 스마트시티 사업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기업으로 선정되어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건물 공조 시스템, 교통 트윈, 국방 산업 등으로 레퍼런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도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베트남, 사우디, 일본 등과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에 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어 해외 실적 확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출처=이에이트 IR자료]
(3) 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의 특성 및 현황
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은 아직 상용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통신사, 대기업, IT 기업 등이 시장 진출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은 원자재 및 센서, IoT 플랫폼, 클라우드/서버, 분석 플랫폼,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시스템 통합 업체 등 광범위한 산업 생태계를 필요로 하는 시장입니다.
현재 국내 시장은 스마트시티와 스마트팩토리 중심으로 활용되나, 향후 헬스케어, 제조업, 한공/우주, 해양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높은 초기 비용, 기술적 복잡성, 전문인력 부족, 데이터 상호운용성 문제, 표준화 부족 등의 저해요인도 존재합니다.
국내 시장은 글로벌 시장에 비해 기술 수준이 아직 낮은 편이나, ICT 강국으로서의 인프라와 정부 주도의 강력한 디지털 전환 정책으로 인해 성장 잠재력은 매우 높은 시장으로 평가됩니다. 국토교통부는 ‘디지털 트윈 국토’ 정책을 통해 2025년까지 약 1조 2,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4) 경쟁사 현황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에서는 Siemens(독일), IBM(미국), ANSYS(미국), Microsoft(미국), Oracle(미국), Dassault Systemes(프랑스) 등이 주요 경쟁 기업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5G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통신사들이 디지털 트윈 시장에 진출했으며, 삼성 SDS, LG CNS 등이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네이버는 클라우드, AI, 지도 등 자사의 기술을 융합하여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R&D 전문 자회사인 네이버랩스를 통해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등에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출처= Emergen Research, 2021년 매출액 기준]
(5) 시장 규모 및 전망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Markets and Markets에 따르면, 101억 달러(약 13.1조 원)에서 2028년 1,101억 달러(약 142.5조 원)로 연평균 61.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시장은 단일화된 통계가 존재하지 않으나, ETRI의 ‘디지털 트윈 국가투자전략 연구(2021)’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의 약 1.8% 수준으로 추산되며, 2025년 약 6,381억 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도 2022년 205조원 에서 2025년 443조 원 규모로 연평균 약 29.3%의 성장률이 전망되며,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역시 2022년 18조 원 에서 2025년 39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처럼 디지털 트윈과 시뮬레이션 기술은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수요, 정부의 정책 지원, 그리고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을 바탕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시장으로 평가됩니다.
[출처=Digital Twin Market Size(2023.07), MarketsandMarkets]
3. 이에이트 연구개발 조직
(1) 개요
이에이트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트윈 플랫폼 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기술 집약형 기업으로, 연구개발 역량을 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삼고 있습니다. 회사는 자체 솔버(Solver) 개발 능력을 비롯해 디지털 트윈 구현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에이트의 연구개발 조직으로는 국내 최초 국산 기술 기반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NFLOW를 연구 개발한 솔루션사업본부와 시뮬레이션 기반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NDX PRO를 연구 개발한 플랫폼사업본부, 그리고 전후처리기 및 모델링을 담당하는 개발본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또한 이에이트 연구개발 조직에서는 전처리기 N3D WORKS을 시제품 개발 완료하였고 후처리기 N3D VIEW 및 신사업 분야인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NFLOW Sim-Vasc 제품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 조직
이에이트의 연구개발 인력은 총 60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에이트는 전체 연구개발 인력 중 석·박사 비중이 약 55%에 이르며, 이는 고급 연구인력을 다수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연구개발 인력 현황
학 력 | 박사 | 석사 | 학사 | 기타 | 합 계 |
인원수 | 3 | 30 | 27 | - | 60 |
(단위: 명)
연구개발조직 구성
부 문 | 그 룹 | 주요업무 |
솔루션사업본부 | 솔루션사업그룹 - 솔루션기획/지원팀 - 응용해석팀 - 솔루션세일즈팀 | 1. 솔루션 R&D 사업 기획 2. 기술지원 및 관리 3. QC/QA/QM 4. Pre/Post Sales & Sales Operation |
솔루션연구그룹 - LBM연구팀 - SPH연구팀 - 전처리연구팀 | 1. LBM Solver 연구 2. SPH Solver 연구 3. 격자 및 입자 모델링 연구 | |
헬스케어사업팀 | 1. 메디컬트윈 전략기획 및 연구 2. 바이오 및 AI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 | |
플랫폼사업본부 | 사업개발그룹 - 사업개발팀 - 사업이행팀 | 1. 플랫폼 R&D 및 공공 사업 기획, 제안 2. 플랫폼 사업 영업 및 이행 3. R&D 사업 지원 및 관리 4. 3D 모델링 및 디자인 개발 |
플랫폼사업그룹 - SI개발팀 | 1. 맞춤형 사업 구축 및 시스템 통합 | |
컨텐츠사업팀 | 1. 컨텐츠 사업 영업 및 품질관리 2. 3D 모델링 교육 기획 | |
개발본부 | 솔루션개발그룹 - APP개발팀 - 그래픽스개발팀 | 1. 전후처리기 개발 2. 제품군 유지보수 |
플랫폼개발그룹 - 플랫폼개발팀 - 컨텐츠개발팀 - 제품기획팀 - AI 개발팀 | 1. Backend/Frontend 개발 2. R&D 사업 수행 3. 제품 기획 및 개발 |
(3) 연구개발 인력 유지 전략
이에이트는 기술 중심 기업으로서, 연구개발 인력의 유지와 확보를 기업의 생존과 성장의 핵심 과제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특히 CFD 솔버 개발, 디지털 트윈 플랫폼 고도화, 의료 디지털 트윈 솔루션 개발 등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하는 분야를 다루고 있어 고급 전문 인력의 확보와 유지가 필수적입니다. 이에 따라 이에이트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전략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① 스톡옵션 부여
이에이트는 핵심 연구인력의 이탈 방지와 동기부여를 위해 스톡옵션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스톡옵션은 회사의 성장과 직결된 성과를 창출한 임직원이 미래의 주가 상승 혜택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연구인력의 장기 재직 유인과 기업가치 제고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특히 기술특례상장 기업은 상장 직후 주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에이트는 기술 인력이 단기적 퇴사보다 장기적 기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톡옵션을 주요 인센티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② 산학연 협력
이에이트는 산학연 협력을 통해 우수 인력 확보와 기술 개발 역량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회사는 국내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최신 연구 동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술 내재화뿐만 아니라 유망한 석·박사급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학연 협력은 단순히 인재 확보 차원을 넘어, 국가 프로젝트 수행 시 신뢰도와 기술력을 입증하는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트윈 표준화 과제와 같은 정부 주관 프로젝트는 산학연 네트워크 없이는 참여 자체가 어려운 분야이며, 이에이트는 이미 다수의 공동연구 경험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③ PM(Project Manager) 제도 운영
이에이트는 기술 노하우가 일부 소수 인력에게 집중되는 인력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PM(Project Manager)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PM은 프로젝트 단위로 책임과 권한을 부여받아 기술 개발을 총괄 관리하며, 개발 일정, 품질,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 조직 내에서 지식과 경험이 분산·공유되며, 기술 노하우가 회사 내 자산으로 축적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PM 제도는 각 개발 분야별로 중간관리자층을 육성하는 수단이 되어 조직의 안정성과 기술의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④ 전문 교육 지원
이에이트는 최신 기술 동향에 발맞춰 연구개발 인력이 지속적으로 역량을 향상할 수 있도록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도한, 외부 전문 교육기관과 협력하거나 국내외 학회, 세미나, 워크숍 등에 연구인력을 파견하여 글로벌 수준의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 내재화뿐 아니라 연구원 개개인의 경력 발전 욕구를 충족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하여 인력 유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⑤ 기술 내재화 및 자체 개발
이에이트는 외부 기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자체 기술 내재화를 강력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개발한 NFLOW 솔버는 이러한 기술 내재화의 대표적인 성과로, 해외 사용 소프트웨어에 비해 자유도 높은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고, 고객 맞춤형 개발이 용이하다는 점이 연구개발 인력을 유지하는 핵심 요인 중 하나입니다.
내부적으로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독자적인 알고리즘 연구와 제품 최적화 작업을 병행하며, 솔버 개발, 시각화 엔진 개발, 시뮬레이션 엔진 고도화 등을 사내에서 직접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체 개발 체계는 기술 유출 방지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인력에게 높은 업무 몰입도와 기술적 자부심을 부여해 인력 유출 방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4. 연구개발 비용
(1) 연구개발비용 현황
이에이트 주식회사는 기술 중심 기업으로서 CFD 솔버 개발과 디지털 트윈 플랫폼 고도화, 그리고 의료 디지털 트윈 솔루션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회사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매출액 대비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에이트의 최근 2개 연도 3분기 기준 연구개발 비용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2024년 3분기 (제13기) | 2023년 3분기 (제12기) |
연구개발비용 계 (천원) | 2,809,827 | 2,423,777 |
(정부보조금) | (781,926) | (706,370) |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 (%) | 173% | 111% |
2024년 3분기 연구개발비용은 28억 982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5.9%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은 173%로 나타나, 매출액을 상회하는 수준의 연구개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기술집약형 기업으로서 이에이트가 기술 경쟁력 확보에 매출 대부분을 재투자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또한, 연구개발비에는 정부보조금이 일부 반영되어 있으며, 2024년 3분기 기준으로 약 7억 8천만 원의 정부보조금이 집행되었습니다. 이는 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2) 연구개발 투자 방향
이에이트는 연구개발비를 다음과 같은 분야에 집중 투입하고 있습니다.
NFLOW 솔루션 고도화
입자 기반 CFD 해석 기술의 고도화
GPU 기반 해석 속도 향상 연구
산업별 맞춤형 해석 기능 개발
NDX PRO 플랫폼 고도화
NGSI-LD 국제 표준 기반 데이터 모델링 강화
대규모 도시 시뮬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최적화
3D 실시간 스트리밍 및 시각화 기술 개발
신사업 분야 개발
헬스케어·바이오 디지털 트윈 솔루션 개발(NFLOW Sim-Vasc)
AI 기반 시뮬레이션 예측 기술 개발
디지털 트윈의 자율제어 단계 기술 확보
5. 연구개발 주요 성과
(1) 연구개발 실적
① 국가 연구과제 수행 실적
이에이트 주식회사는 디지털 트윈, CFD(전산유체역학) 분야의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정부 주도의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를 수행해왔습니다. 특히, 지능형 디지털 트윈 연합 운용 및 예측 핵심 기술 개발 과제에 총괄 및 세부 주관 기관으로 참여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국방, 국토교통, 산림청 등 다양한 정부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국내 디지털 트윈 대표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가 연구과제 수행 현황
선정연도 | 연구과제명 | 부처/주관기관 | 연구기간 | 과제규모 | 정부 출연금 | 관련 제품 |
2022 | (총괄·1세부) 지능형 디지털 트윈 연합 운용 및 예측 핵심기술 개발 | 과기정통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 2022.04 ~ 2026.12 | 119억원 | 18억원 | NDX PRO, NFLOW |
2022 | (3세부) 지능형 디지털 트윈 연합 지원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 및 저작도구 기술 개발 | 과기정통부/정보통신기획평가원 | 2022.04 ~ 2026.12 | 62억원 | 25억원 | NDX PRO |
2022 | 자율주행 Lv.4/4+ 운행 지원 디지털 트윈 기반 교통 분석·대응·평가 시스템 개발 |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 2022.04 ~ 2027.12 | 143억원 | 22억원 | NDX PRO |
2022 | 산림재해 대응을 위한 리빙랩 기반 스마트 혁신기술 개발 및 실증 | 산림청/한국임업진흥원 | 2022.04 ~ 2024.12 | 7.7억원 | 5.7억원 | NDX PRO |
2024 | 비레이저 기반 차세대 마일즈 개발 | 방위사업청/국방기술진흥연구소 | 2024.04 ~ 2025.06 | 40억원 | 2.3억원 | NDX PRO |
2024 |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 | 과기정통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2024.04 ~ 2024.12 | 40억원 | 1.7억원 | NDX PRO |
2024 | 가상원자로 시뮬레이션 통합 플랫폼 개발 | 과기정통부/국가과학기술연구회 | 2024.06 ~ 2029.05 | 115억원 | 16억원 | NFLOW |
② 학술 및 기술 발표 실적
이에이트 주식회사는 국내외 학회, 학술지 등을 통해 연구성과를 활발히 발표하고 있으며, 디지털 트윈 및 CFD 분야의 기술적 리더십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에이트 국내 논문 게재 실적]
번호 | 발표일 | 논문명 | 등급 | 학술지명 | 저자 |
1 | 2015.07 | GPU을 이용한 토사재해 예측 시뮬레이션의 3D 실시간 가시화 방법 | KCI 등재지 | 한국정보통신 학회논문지 | 송상민, 조광준, 옥수열 |
2 | 2016.06 | 도심지 토사재해 예방을 위한 3차원 시뮬레이션 개발(I) | KCI 등재지 | 한국산학기술 학회논문지 | 신봉진, 윤상호, 이기동 |
3 | 2017.12 | 도심지 토사재해 예방을 위한 3차원 시뮬레이션 개발(II) | KCI 등재지 | 한국방재 학회논문집 | 조광준, 김진현, 양원석 |
4 | 2018.11 | 고속열차 팬터그래프 동특성 측정 및 동역학 해석을 통한 최적 전차선 장력 예측 | KCI 등재지 | 한국산학기술 학회논문지 | 오혁근, 유근준, 박태원 |
5 | 2022.02 | Total Lagrangian 기반 음해적 입자법을 이용한 외팔보동적 거동 해석 | KCI 등재지 | 대한기계 학회논문집 | 이완기, 주영석, 김진현 |
[이에이트 해외 논문 게재 실적]
번호 | 발표일 | 논문명 | 등급 | 학술지명 | 저자 |
1 | 2021.10 | Numerical investigation of sour by incompressible SPH coupled with coarse-grained DEM | SCIE |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 Jihwan Kim, Ji-Hyeong Lee, Hoyoung Jang, Jeyun Byun, Young Seok Joo |
2 | 2022.04 | Optimization of FFR Prediction Algorithm for Gray Zone by Hemodynamic Features with Synthetic Model and Biometric Data | SCIE | Computer Methods and Programs in Biomedicine | HyeongJun Lee, YoungWoo Kim, JunHong Kim, YongJoon Lee, Jinseok Moon, Peter Jeong, Joonhee Jeong, JungSun Kim |
3 | 2024.06 | Thermomechanical modeling in elastic body with corotated total Lagrangian SPH | SCI | Computers and structures | Wanki Lee, Dongbin Shin |
4 | 2024.07 | Pseudo-potential Lattice Boltzmann Method with an Improved Forcing Scheme for the Cumulant Collision Model | SCI | Journal of Statistical Physics | Junho Kim, Young Keon Gong, Yeongchae Park, Peter Jeong |
③ 향후 연구계획
이에이트 주식회사는 국가 연구과제를 통한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자체 연구개발비 투자를 통해 NFLOW 솔버, N3D 해석 엔진, NDX PRO 플랫폼 등 각 주요 제품군별로 체계적인 R&D 로드맵을 수립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2024년 및 2025년 기술 로드맵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2024년 연구계획 | 2025년 연구계획 |
NFLOW SPH 솔버 R&D | Multi-GPU 성능 최적화 탄성체, 유체-탄성체 연성 개발 토석류 해석 개발 비구형 DEM 개발 | SPH 솔버 확장 개발 Multi-Resolution 기법 개발 해양 구조물, 토석류, 자동차 등 산업군별 특화 모델 개발 |
NFLOW LBM 솔버 R&D | 쉘 메시 기법 개발 다공성 매질 모델 적용 공침 솔버 개발 화학 반응 솔버 개발 | LBM 솔버 확장 개발 강체, 탄성체 FSI 연구 혈류역학, 해양, 제약, 반도체 등 산업군 특화 솔버 제작 |
N3D WORKS 해석 엔진 N3D VIEW R&D | SPH 고성능 후처리기 출시 전처리기 UI 통합 버전 출시 적응형 격자 세밀화 (AMR) 탑재 Multi-Node Multi-GPU 기반 기술 연구 | LBM/SPH 전처리기 확장 개발 웹 기반 전처리기 개발 산업군 별로 최적화된 맞춤형 전/후처리기 개발 세계 최고 수준 해석 성능 확보 |
NDX PRO R&D | - Private Cloud 패키지 버전 출시 - Open Source 기반 IaaS 최적화 - Kubernetes 전용 대시보드 개발 - Kafka Cluster 운영 대시보드 개발 | 데이터 영속성 확보 위한 DR Solution 적용 마이크로 서비스 Fail-Over 기술 적용 |
이에이트는 이러한 기술 로드맵을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 및 시뮬레이션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스마트 시티, 제조, 국방,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의 사업 영역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2) 지식재산권 보유 내역
이에이트 주식회사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트윈 플랫폼 관련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력을 보호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적극적으로 지식재산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① 전체 보유 현황
이에이트가 보유한 지식재산권은 총 176건입니다.
국가 | 특허 | 상표 | 디자인 | 프로그램 | 소계 |
한국 | 38 | 34 | 11 | 39 | 122 |
미국 | 9 | 5 | - | - | 14 |
중국 | 3 | 1 | - | - | 4 |
유럽 | 2 | 5 | - | - | 7 |
일본 | 1 | 4 | - | - | 5 |
싱가포르 | 1 | 2 | - | - | 3 |
기타 | 12 | 9 | - | - | 21 |
합계 | 66 | 60 | 11 | 39 | 176 |
② 특허보유현황
구분 | 주요 기술 영역 | 국내 등록 | 해외 출원·등록 | 비고 |
NFLOW SPH | SPH 기반 입자 시뮬레이션, 다중 GPU 연산, Dummy Particle 기법, 유체-탄성체 연성 해석 등 | 20건 | PCT/US/EU/CN 등 27건 | 글로벌 보호 확대 중 |
NFLOW LBM | LBM 기반 유동 해석, 다중 격자, LES, 혈류 해석 등 | 9건 | PCT/US/SG 등 11건 | 의료·전자 산업 확대 대비 |
NDX PRO | 디지털 트윈 플랫폼, 데이터 표준 구조, 객체 전주기 관리, DR 솔루션 등 | 6건 | PCT/JP 등 5건 | 스마트시티·공공사업 중심 |
기타 (유체해석 SW, 신사업 등) | 혈류 가시화, 교통 시뮬레이션, STL 파일 전처리 등 | 13건 | 의료, 국방, 스마트시티 영역 |
이에이트는 입자 기반 시뮬레이션, 디지털 트윈 플랫폼 등 핵심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외 특허 66건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고려해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권리를 확보하여 글로벌 분쟁 예방 및 기술 보호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출처=이에이트 IR Book]
6. 마무리하며
이에이트는 국내 디지털 트윈 분야에서 독자적 기술을 기반으로 한 드문 상용화 사례를 보유한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입자 기반 CFD 해석 소프트웨어 NFLOW와 디지털 트윈 플랫폼 NDX PRO는 기술적 차별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시티, 제조, 국방 등 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사업영역을 확장해왔습니다. 특히 입자 기반 시뮬레이션은 기존 격자 기반 해석의 한계를 보완하며 고유의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 측면에서 디지털 트윈 분야는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정책, ESG 경영, 도시 인프라 혁신 수요와 맞물려 높은 성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시장은 매우 높은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스마트시티 등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기술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 점은 이에이트가 보유한 기술 및 사업 경험과 맞닿아 긍적적 신호로 해석됩니다.
또한 연구개발 투자 비율이 매출의 100%를 크게 상회할 정도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지식재산권 역시 광범위하게 확보되어 있어 기술적 경쟁력은 확실히 보유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특히 디지털 트윈 시장은 기술 집약적이고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분야로, 이에이트가 보유한 66건의 특허를 포함한 풍부한 지식재산권 포트폴리오는 시장 내 기술 모방 방지와 고객 신뢰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방어수단이자 경쟁우위 요소로 평가됩니다. 향후 글로벌 시장 확대와 고부가가치 산업 진출을 위해서도 지식재산권의 지속적 확보와 활용 전략은 핵심적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이에이트는 현재 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에서 선도적 입지를 구축했으며,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도 기술 차별성을 기반으로 추가 성장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다만, 수익구조의 다변화와 글로벌 시장에서의 안정적 포지셔닝 확보, 그리고 지식재산권을 활용한 보다 강력한 사업 방어 전략이 향후 과제로 남아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