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essional

진솔국제특허법률사무소

2002년 창립 이래로, 진솔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기계, 전자, 화학, 의료, AI 및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특허, 상표, 디자인 관련 소송 및 심판, 특허 침해 대응, 법률 자문, 대응 특허 개발, 지식재산권 기반 컨설팅, 그리고 국내외 출원 업무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특례상장 성공사례-에스오에스랩, 국산 라이다 기술로 글로벌 시장을 향하다

2025년 10월 21일

[출처 = 에스오에스랩 IR Book]

1. 에스오에스랩 회사 개요 및 연구개발 조직 구성

(1) 회사개요

설립일, 업종, 본사 위치

에스오에스랩(SOS LAB Co, Ltd)은 2016년 6월 설립된 라이다(LiDAR) 센서 및 솔루션 전문 기업입니다 VCSEL•SPAD 기반의 3D 고정형 라이다(ML), EEL•APD 기반의 2D 라이다(GL), 그리고 라이다 데이터 인지/분석 솔루션을 개발•제조•공급하며, 적용 분야는 자동차(오토모티브), 로보틱스, 스마트 인프라(산업안전•보안•스마트시티 입니다. 본사는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 303호(GIST 산학협력연구관)에 위치하고, 광주•용인에 R&D 센터를 운영합니다.

기업 비전/미션

기업 비전은 “지능형 공간 인지로 사람과 모빌리티의 안전•효율을 높이는 글로다 라이다 플랫폼 기업”입니다. 미션은 고정형 라이다의 상용화를 선도하고, 산업•도시 인프라에 맞춤 솔루션을 통합 제공하여 고객 현장에 설치-운영-보수까지 원스톱 가치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핵심 경쟁력 요약

  • 제품 포트폴리오(End-to-End): 3D 고정형 라이다(ML) –2D 라이다(GL)–On-device Data Solution(인지/추적/위험 감지)까지 수직 계열화.
  • 고정형(SSD) 기술 우위: VCSEL+SPAD 구조, 120°(H)×35°(V) 광각, 모듈 교체만으로 화각 파생 가능, 다중간섭/고반사 노이즈 저감 알고리즘 등 국내 유일 구조.
  • 원가•신뢰성•양산성: 카메라 유사 구조로 소형•저가화, 기계부 없이 내구성 우수. EMS+사내 제조 혼합으로 2026년까지 자체 공장 없이도 대응 가능한 양산 체계.
  • 레퍼런스 확대: 반도체 OHT 외산 라이다 대체 양산, 제철•발전 등 중대재해 대응 안전솔루션 실증, 공항 실외 주차 관제 등 다수 현장 적용. ž 영업/수주 방식: OEM•Tier1과 공동개발/NRE로 락인, 인프라 영역은 정보통신공사업 기반 설치•환경구축•유지보수 포함 패키지 수주.
  • 재무•위험관리 기초: 연국개발 중심체질(’23 R&D/매출 69.2%, ’24.1Q 52.2%), 외화 순노출 관리, 일부 채권 보증•선수금 등 기초 리스크 케어.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에스오에스랩의 제품군은 (i) 3차원 고정형 라이다(ML), (ii) 2차원 스캐닝 라이다(GL), (iii) 라이다 데이터 인지•분석•솔루션(Data Solution)으로 구성됩니다. 회사는 센서 단품에서 신호처리•인지 소프트웨어에 이르는 수직 계열화 구조를 바탕으로, 자동차•로보틱스•스마트 인프라(산업안전 보안 스마트시티) 각 분야의 요구 사양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펌웨어 알고리즘 일체형 패키지를 제공합니다. 특히 고정형 라이다의 소형화•저가화 및 내구성 확보라는 산업계의 기술적 과제를, VCSEL/SPAD 기반 송•수광 구조와 광학•신호처리 통합 설계로 해결함으로써, 종래 기계식 라이다의 한계(구동부 취약, 대형화, 유지보수비용)를 실사용 환경에서 실질적으로 완화하였습니다.

[Mobility LiDAR, 출처= 에스오에스랩 홈페이지]

① 3D 고정형 라이다 – ML Series

ML은 솔리드 스테이트 구조의 3차원 라이다로서 VCSEL을 송신부에, SPAD를 수신부에 적용하여 회전체 없이 두 개의 칩과 두 개의 렌즈만으로 광각 측정을 구현합니다. 기본 설계는 수평 약 120도, 수직 약 35도의 시야각을 제공하며, 광학 모듈 변경만으로 상이한 시야각 파생 모델을 구성할 수 있도록 광학계와 펌웨어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합니다. 외광 내성을 위한 대역통과필터, 다중 센서 간 간섭 제거 로직, 고반사체 기인 허상 억제 및 해상도 향상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난반사와 복합 조도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포인트 클라우드를 확보합니다.

거리 산출은 비행시간 법에 기초하며 TDC와 ASIC 기반 수광 타이밍 회로를 통해 시간 분해능을 높인다. 제조 단계에서는 능동 정렬 공정, 보드 및 모듈 레벨 성능 검사, 레이저 모듈 특성 검증을 사내•EMS 혼합 체계로 운용합니다. 전면 윈도우에는 고발수•저반사 코팅을 적용하여 오염 및 우천 환경에서의 성능 열화를 억제합니다. 적용 영역은 자율주행과 첨단 운전자 지원, 실외 자율 로봇, 경계 감시, 군중•차량 혼잡 분석, 실외 주차 관제 등 고내구 광각 인지가 필요한 분야가 중심이 된다. 글로벌 완성차 및 1차 협력사와의 공동 개발과 차체 일체형 적용 검증도 병행합니다.

[General LiDAR, 출처= 에스오에스랩 홈페이지]

② 2D 스캐닝 라이다 – GL 시리즈

GL은 산업용 2차원 스캐닝 라이다로서 EEL을 광원으로, APD를 수광 소자로 사용합니다. 이축 스캐닝 구조를 채택하여 회전 시 원형 분산 조사 배광을 형성함으로써 방열 효율과 미러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기준 40헤르츠의 가변 스캔 속도와 약 0.18도의 각 분해능을 제공하여 정밀 윤곽 측정과 거리 계산을 지원합니다. 독자 광학계와 혼합 신호처리 최적화를 통해 장거리 측정에서의 광량 손실을 억제하고, 관심영역 지정과 레벨별 안전구역 설정 등 산업 안전 규격에 부합하는 기능을 펌웨어로 제공합니다. GL은 반도체 웨이퍼 이송 OHT, AGV, AMR의 장애물 감지와 충돌 방지에 적용되며 외산 라이다의 대체 사례를 확보한 상태로 양산 공급을 지속합니다. 실외 작업차량, 철도 플랫폼과 건널목 보행자 감지, 상호작용형 디지털 사이니지에도 적합하며, 고객 요구에 따른 전용 필터링과 마스킹 로직을 신속히 반영할 수 있도록 플랫폼형 펌웨어 구조를 운용합니다.

라이다 데이터 인지•분석 – Data Solution

Data Solution은 라이다 포인트 클라우드 기반 온디바이스 인지 소프트웨어다. 전처리 단계에서 노이즈 제거, 지면 분리, 클러스터링을 수행하고, 다중 객체 검출•분류•추적, 이동체 궤적 단기 예측, 위험 영역•침입•근접 위험 탐지, 대상물 치수•부피 계측을 모듈화하여 제공합니다. 엣지 장치에서 실시간 동작하도록 경량화되어 현장 네트워크와 전원 인프라의 부담을 최소화하며, 자사 센서와의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여 통합 기간과 비용을 절감합니다. 실시예로 대형 실외 주차장의 전 구역 빈칸 탐지와 차량 유도, 혼잡도 분석을 포함하는 관제, 제철•발전 등 중대재해 위험 사업장의 작업자•장비 근접 위험 감지 및 크레인 운용 연동, 항만•교정시설의 불법 침입 탐지가 존재합니다. 발주처가 통합 설치와 유지보수를 요구하는 프로젝트의 경우 회사는 정보통신공사업 자격을 근거로 센서 공급, 설치 공사, 환경 구축, 사후 유지보수를 일괄 제공하는 턴키 수행을 지원합니다.

[출처= 에스오에스랩 IR Book]

종합 정리

ML은 고정형 집적 구조와 광학•알고리즘 결합 설계를 통해 기계식 대비 내구성, 원가, 패키징에서 구조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GL은 산업 안전과 물류 자동화에 최적화된 각 분해능, 가변 스캔, 내열•내구 설계를 구현합니다. Data Solution은 하드웨어를 현장 가치로 연결하여 객체 인지, 위험 관리, 운영 효율화 요건을 충족하는 완성형 시스템을 구성합니다. 회사는 센서 단품 납품에서 모듈•시스템공동 개발, 턴키 수행으로 이어지는 일관된 공급 스킴을 갖추며, 구성 요소 간 결합 관계와 작용 효과가 명확한 점에서 상용화와 확장성, 권리화 측면의 경쟁력을 보유합니다.


2. 라이다(LiDAR) 시장의 특징

(1) 기존 라이다(LiDAR) 시장(오토모티브•산업용)

기존 라이다 시장은 자율주행 기술의 부상과 함께 기계식 스캐닝 라이다가 연구개발•파일럿 단계의 주류를 형성해 왔고, 산업 자동화 영역에서는 2D 스캐닝 라이다가 안전•내비게이션 센서로 자리를 구축해 왔습니다. 오토모티브 분야에서는 장거리•광각•고해상도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회전체 기반 라이다가 초기 적용을 이끌었으나, 내구성•패키징•원가 측면의 한계가 양산 확산의 장애로 작용하였습니다. 산업용 분야에서는 OHT•AGV•로봇 등의 충돌방지와 구역 감시에 2D 라이다가 표준 센서로 사용되었으나, 외산 의존도와 사용자 맞춤 기능의 제약이 고객 불편으로 남아 왔습니다. 에스오에스랩은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인식하고, 자동차•로봇•인프라 각각의 요구 사양에 적합한 3D 고정형 라이다와 2D 라이다 라인업을 통해 신뢰성과 비용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합니다.

[라이다 적용산업]

(2) 고정형 라이다 전환과 핵심 요소기술

글로벌 트렌드는 기계식에서 고정형(solid-state)으로 빠르게 이동 중입니다. VCSEL 송신부, SPAD 수신부, 전용 ASIC 신호처리를 통합한 아키텍처가 상용화 경쟁의 핵심이며, 구동부 제거로 진동•충격•온도에 대한 내성이 커지고 소형화•저가화가 가능해 차량 일체형 디자인과 대량 양산에 유리하다. 장거리•광각 성능은 송수신 광학계 설계(수광면적, FoV, 빔 다이버전스), BPF를 통한 외광 노이즈 억제, 다중 라이다 간 간섭 저감(코드•클록 다이버시티 등)으로 보완합니다. 오토모티브 적용은 기능안전•사이버보안•EMC 등 규격 충족이 필수이며, 산업•인프라 적용은 방진•방수•작동온도•수명 신뢰성이 관건이다. 에스오에스랩은 VCSEL•SPAD•ASIC을 통합한 3D 고정형 구조와 산업용 최적화 2D 스캐닝 구조를 병행해 전환 수요를 흡수합니다.

(3) 국내 라이다 시장의 특성 및 현황

국내 라이다 시장은 상용화 초입 단계에 있고, 자동차•로봇•스마트시티 수요가 동시에 발생하는 다핵 구조를 보입니다. 공공•인프라 부문은 교통 관제, 보행자 안전, 주차 관제 등에서 시범 적용이 확대되고, 제조•물류 부문은 OHT•AGV•AMR 중심으로 외산 센서 대체 수요가 증가합니다. 시장 저해 요인은 초기 총소유비용, 통신•플랫폼 연동의 복잡성, 인지 알고리즘의 현장 적합성, 데이터 표준화 미흡이 해당합니다.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정책과 소부장 국산화기조는 라이다 국산 대체의 촉매로 작용하고, 표준 규격 정립과 레퍼런스 축적이 시장 확장의 핵심 과제가 됩니다. 에스오에스랩은 산업•스마트시티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공공•민간 프로젝트에서 제품+솔루션 일괄 공급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라이다의 주요 응용 분야, 출처= 에스오에스랩 IR Book]

(4) 경쟁사 현황

오토모티브 3D 라이다 시장은 고정형(solid-state) 전문 기업과 완성차(OEM), 티어1(1차 협력사) 전장사가 병행 경쟁하는 구도입니다. 기술 스택은 완전 고정형(에스오에스랩•Opsys•Ouster•Hesai•XenomatiX), 1세대스캐닝(송•수신부 회전: Ouster•Hesai•Robosense•Velodyne), 2세대 스캐닝(미러 회전: Hesai•Valeo•Bosch), MEMS/프리즘(Cepton•Innoviz•Robosense), 1550nm 장거리 지향(Luminar•Seyond•AEye), FMCW 간섭계 방식(Aeva)으로 갈라져 있으며, 내구성•양산성•원가 측면에서 고정형으로의 전환이 가속되는 추세입니다. Yole Development 집계 기준 판매대수 점유율은 Ouster 42.6%, Hesai 31.7%, Luminar 6.2%, Innoviz 4.1%로 파악되지만, 2D•3D가 혼재되고 세부 산정이 공개되지 않아 산업•세그먼트별 절대치 해석에는 유의가 필요합니다. 국내 시장은 OEM과 티어1의 자체 개발과 외산 조달이 혼재하는 가운데, 산업•스마트시티 영역에서는 프로젝트형 턴키 수요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에스오에스랩은 3D 고정형 라이다의 내구성과 원가 경쟁력, 산업용 2D 라이다의 국산 대체 역량, 그리고 현장 데이터 연계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솔루션 제공 능력을 차별화 요소로 삼아 글로벌 전문사 및 OEM•티어1과의 경쟁에서 포지셔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5) 시장 규모 및 전망

라이다 시장은 중장기적으로는 고성능 ADAS 확산, 로봇•물류 자동화 가속, 스마트 인프라 디지털 전환에 힘입어 두 자릿수 성장이 유력합니다. Yole Intelligence 기준 모빌리티 영역에서 ADAS는 2021년 3,800만달러에서 2027년 20억달러(CAGR 73%)로, Robotic Cars는 1.2억달러에서 6.98억달러(28%)로, Logistics는 9,200만달러에서 3.44억달러(30%)로 확대되어 2027년 합계 약 30억달러(CAGR 54%)가 예상됩니다.

인프라•제조에서도 Smart Infrastructure가 2021년 1.08억달러에서 2027년 11억달러(51%)로, Manufacturing은 4.02억달러에서 4.65억달러(3%)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다만 자율주행 시장의 본격 개화는 다소 지연될 소지가 있으며, 일부 전망(S&P Global)에 따르면 2035년까지도 완전 자율주행보다 L2~2+ 비중이 우세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센서 주도권 측면에서는 카메라•레이더•라이다가 상호보완 관계를 형성하고, 라이다는 기능 우위에도 불구하고 원가와 양산성이 관건이지만 반도체화•모듈 공용화•패키징 혁신이 가격 하락 곡선을 가속할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인지 소프트웨어의 성숙도가 TCO 대비 가치를 좌우하는 차별 요소로 부상합니다.

에스오에스랩은 고정형 구조의 내구성•원가 우위를 바탕으로 자동차•로봇•인프라를 동시 다변화하고, 제품과 인지 소프트웨어 결합으로 고객 효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진합니다. 내부 추정 기준으로는 오토모티브 라이다 점유율이 2024년 0.3%에서 2027년 2.3%까지, OHT 라이다 점유율이 2024년 2.1%에서 2027년 6.1%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합니다(각각 Yole 제시 시장 규모 및 IHS OHT 하드웨어 시장•라이다 비중 가정 대비 당사 매출 추정). 한편 경기 둔화, 표준화•규제 변화, 타 센서의 급격한 단가•성능 개선 등 외생 변수는 수요와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글로벌 라이다 시장 규모, 출처= Yole Development]


3. 에스오에스랩 연구개발 조직

(1) 개요

에스오에스랩은 광주광역시 본사와 경기도 용인 지사에 각각 기업부설연구소를 두고 선행기술과 제품화를 지속하는 센서 전문 R&D 기업입니다. CTO가 연구소와 사업본부를 일원화해 원천기술 연구•제품개발•사업화까지 전 과정을 총괄하며, 조직은 고정형 라이다(SSD), 기계식 라이다(MSD), Data & Solution(D&S), 미래기술실, 운영관리실 등 5개 부서, 14개 팀으로 구성되어 제품과 솔루션을 유기적으로 연계합니다.

SSD 사업부는 3D 고정형 라이다 사업을 총괄하며, 고정형 라이다의 하드웨어, 펌웨어 개발 및 핵심 소자의 개발을 담당하는 HW개발팀,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통한 데이터 개선 및 성능 평가 등을 담당하는 SW개발팀, 송/수신 광학 설계 및 송신부 핵심 소자 개발을 담당하는 요소기술팀, 생산 공정 기반의 제품 제작 등을 담당하는 생산팀, 각종 인증 및 신뢰성 검사, 품질관리 및 검사 등을 담당하는 Q&S팀(Quality & Safety), 사업 및 과제 기획 등을 담당하는 사업기획팀으로 구성되어 원천기술 기반의 사업화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MSD 사업부는 2D 기계식 라이다 사업을 총괄하며, 2D 라이다의 플랫폼화를 목표로 합니다. 양산성이 확보된 사업 모델의 선행 제품/기술 개발 및 POC를 담당하는 선행개발팀, 기계식 라이다 양산 제품의 강건화 및 파생품 개발 등을 담당하는 제품개발팀, 양산 설비의 설계 변경을 포함하여 생산 장비 등을 구축하는 생산기술팀으로 구성되어 양산 기반의 제품 사업화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D&S 사업부는 개발한 당사 라이다를 기반으로 스마트 인프라, 산업안전, 보안/경계감시 등 각종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3차원 다중 객체 검출/추적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사업화를 수행하고 있으며, 개발한 솔루션의 기획과 이에 대한 서비스까지의 사업화를 담당하는 주차솔루션개발팀, 신규 사업화를 위해 프로젝트 기반의 코어 기술을 연구하는 신규프로젝트개발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향후 솔루션 기반 영역을 확대하여 이를 통한 기술 축적 기반의 3D 데이터 기반 플랫폼 사업으로의 확장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조직]

(2) 연구개발 조직

연구개발 인력 증감 추이

(단위: 명)

구  분직위기초증가감소기말
21년도연구원354039
22년도연구원3912447
23년도연구원47121148
24년도 1분기연구원484250
증권신고서
제출일
연구원505154

2022 ~ 2023년 각 12명 증가로 R&D 저변을 확장했으며, 2024년에도 1분기 및 현재 기준 총 9명이 증가하는 등 2024년에는 이전 3개년도 이상으로 연구인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2022년부터 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감소한 18명의 연구인력 중 38.9%에 해당하는 7명은 근속연수 2년 미만 인력으로, 당사의 설립 초기 당시부터 함께해 온 핵심 연구인력이 아닌 당사의 인지도 상승과 함께 연구인력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새롭게 합류한 인원의 단기적인 재직 사례에 해당합니다. 그 외 나머지 11명 중에도 당사의 핵심 연구인력인 실장급은 없으며, 실장급의 아래인 팀장급 인력은 2명으로, 품질관리 등 핵심분야의 연구인력에 해당하지 않거나 당사의 사업분야와 다른 분야의 창업을 위한 퇴사로, 당사의 연구개발 지속성이 저해되거나 핵심인력이 경쟁사로 유출될 위험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연구개발인력 구성

(단위: 명)

학력박사석사학사기타합계
인원수141522354

4. 연구개발 비용

(1)연구개발비용

(단위: 천원, %)

구분2024 연도
( 제9기 1분기)
2023연도
(제8기)
2022연도
(제7기)
2021연도
(제6기)
매출액2,235,7924,103,2722,336,2051,214,503
연구개발비용 계1,168,0082,839,3514,412,1763,384,078
(국고지원금)308,6332,326,3981,564,1312,157,904
회계처리개발비 자산화(무형자산)----
경상연구개발비(비용)1,476,6415,165,7495,976,3075,541,982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 ÷ 당기매출액 × 100]52.24%69.20%188.86%278.64%

주) 2021년도는 GAAP 기준이며, 2022년도, 2023년도, 2024년도 1분기는 IFRS 기준입니다.


5. 연구개발 주요 성과

(1) 연구개발 실적

완료 과제는 광원•수신 소자, 광학계, 신호처리, 신뢰성, 공정•양산기술, 응용 솔루션을 포괄합니다. VCSEL/SPAD•미세 패터닝 광학•풀웨이브폼 처리•액티브 얼라인•코팅 신뢰성 같은 요소기술이 3D 고정형 라이다와 2D 산업용 라이다의 성능과 원가를 동시에 끌어올리고, 주차•산업안전 등 D&S 솔루션으로 확장됩니다.

[개발완료 실적 요약]

연구과제명기간핵심 성과상품화/적용
어드레서블 VCSEL 구조형 고정형 라이다2019-05-01
~ 2020-04-30
어드레서블 VCSEL 광원·수신 시스템·모듈, 고출력 VCSEL 패키지/수명 신뢰성 확립고정형 라이다 적용 완료
미세 패터닝 광학계를 활용한 2D/3D 고정형 라이다2019-06-01
~ 2020-12-31
미세 패터닝 광학, Tx 세라믹 패키지, SPAD 신호처리·구동, 다채널 VCSEL 보드고정형 라이다 적용 완료
Full Waveform 라이다 및 반사강도 영상 생성2019-10-01
~ 2021-09-30
반사강도 맵/모델링, 구면투영 처리, 딥러닝 3D 객체 인식고정형 라이다·인지 솔루션 적용
OHT/AGV용 네비게이션 2D 라이다 국산화2019-11-06
~ 2020-11-05
0.3~30m, 180° 이상 화각, 간섭 저감 아날로그 처리·광필터, 영역설정 SW2D 라이다 적용 완료
15년·30만km 고발수 코팅 고정형 라이다2020-07-01
~ 2021-06-30
고경도 AR·발수 코팅 윈도우, 차량용 신뢰성 검증고정형 라이다 적용 완료
원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단거리용 VCSEL 기술2020-07-30
~ 2021-06-30
Addressable VCSEL 스캐닝, 멀티채널 구동, 정밀 얼라인 구조고정형 라이다 적용 완료
2D 라이다 성능개선 및 양산기술2020-11-01
~ 2021-09-30
각도분해능·위치정확도 개선, 수신부 정렬·보정 공정 자동화2D 라이다 적용 완료
3D 라이다 기반 실외 무인 주차 안내2023-06-01
~ 2023-11-30
AI Perception 고도화, HMI·테스트베드 구축여수공항 실증 완료

정부과제는 산업부•과기정통부•중기부•국방과제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형성합니다. 진행 상태는 진행중 9건, 종료 13건으로 집계되며, 고해상도 고정형 라이다(ISO 26262/21434), CMOS 라이다 센서•AI SoC, 4D FMCW, 광각화•소형화, 디지털트윈•경계감시 등으로 응용 폭을 넓힙니다.

[정부과제 수행 현황 요약]

주관 부처과제 수진행중종료주요 축
산업통상자원부1156고해상도 3D, SoC/드라이버, 1550nm SPAD, 양산·공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532디지털트윈, 데이터·AI, SWIR·센서융합
중소벤처기업부4042D 국산화, Full Waveform, 드라이버
국방부/국방기술진흥연220광각·고해상도·소형화, 5D FMCW 경계감시
기타(산업융합사업단 등)101실외 주차 안내 실증
합계23913-

(2) 지식재산권 보유 내역

에스오에스랩은 국내외 주요 권역에 다층 IP 장벽을 구축한다. 등록 특허 86건, 등록 실용신안 2건, 출원 특허 70건을 확보하고, 한국•미국•중국•유럽(EP)•일본•영국을 포괄한다. 권리 범위는 3D 고정형 라이다 구조•광학•신호처리•제조공정과 2D 산업용 라이다, 데이터 솔루션•서비스까지 확장됩니다.

[IP 보유 현황 요약]

구분건수주요 권역기술 범주
등록 특허86KR, US, CN, EP, JP, UK3D 고정형 구조·광학/코팅, VCSEL/SPAD, 신호처리·인지, 제조·얼라인
등록 실용신안2CN라이다 디바이스(2D/3D)
출원 특허70KR, US, CN, EPVCSEL 어레이·드라이버, 옵틱/수신, 데이터 공유·평가, 제조공정
상표(등록)23KR, US, EP, CN, JP, UK2D/3D 제품·기업·서비스 표장
상표(출원)5KR제품·서비스 표장

[대표 등록 특허(발췌)]

번호명칭출원국적용제품등록일
1장애물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KR2D2018-10-25
2LIDAR DEVICEUS3D2020-03-17
3라이다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KR3D2020-07-03
4전후방 측정이 가능한 라이다 스캐닝 장치KR3D2020-11-04
5다채널 라이다 센서 모듈KR2D2019-11-25
6센서를 이용한 보안 장치의 동작 방법KRData solution2023-10-16
7METHOD OF SHARING AND USING SENSOR DATAUSData solution2024-01-02
8노이즈 저감 옵틱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라이다 장치KR3D2022-09-16
9라이다 장치 제작 방법 및 액티브 얼라인 장치KR3D2022-09-29
10고해상도 라이다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장치KR3D2023-06-30

상표권은 국내외 6개 권역에 등록군을 형성하고, 제품군(2D/3D)과 기업•서비스 표장을 분리해 운용합니다. 최근 출원 상표는 차세대 3D 제품군과 데이터•플랫폼 지향 솔루션 라인 확장에 연동합니다.


6. 마무리하며

에스오에스랩의 사례는 국내 라이다 전문기업이 기술특례상장을 통해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과정을 잘 보여줍니다. 핵심 요소기술 확보(VCSEL·SPAD 기반 고정형 라이다), 산업 맞춤형 제품 포트폴리오(3D·2D 라이다, Data Solution), 그리고 정부과제를 통한 연구개발 저변 확대가 결합되면서, 상용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기술특례상장은 단순히 기술력만으로는 완결되지 않습니다. 기업의 연구개발 역량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IP) 포트폴리오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실제로 에스오에스랩 역시 80건 이상의 등록특허와 글로벌 권역에 걸친 출원망을 기반으로, 투자자와 심사기관에 자사의 기술 우위를 효과적으로 증명했습니다.

진솔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기업이 기술특례상장을 준비하는 전 과정에서 IPO 컨설팅과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을 종합적으로 지원합니다. 기술의 차별성과 사업성을 입증하는 동시에, 핵심 특허를 중심으로 한 방어적·공격적 권리전략을 수립하여 상장 이후에도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기술특례상장을 준비하는 기업이라면, 지금이 바로 연구개발 실적과 지식재산권을 긴밀히 결합한 전략적 준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강남빌딩 10층 1003호 | E-mail : jinsollaw@jinsollaw.com
 |대표전화 : 02-558-0688 |  팩스 : 02-558-7010
COPYRIGHT©JINSOLLAW ALL RIGHT RESERVED
crossmenuchevron-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