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essional

진솔국제특허법률사무소

2002년 창립 이래로, 진솔국제특허법률사무소는 기계, 전자, 화학, 의료, AI 및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특허, 상표, 디자인 관련 소송 및 심판, 특허 침해 대응, 법률 자문, 대응 특허 개발, 지식재산권 기반 컨설팅, 그리고 국내외 출원 업무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술특례상장에 성공한 기업들의 심사사례 - 에이텀

2025년 03월 27일

[사진 = 에이텀 IR book]

I. 에이텀 회사 개요 및 연구개발 조직 구성

1. 에이텀

1) 에이텀은 특화된 평판형 트랜스포머(이하 트랜스)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소형화, 고효율, 고출력 트랜스 및 핵심 부품을 제조하고 그와 관련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현재는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기(TA)와 TV용도의 트랜스를 생산 중이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 (EV) 및 전기자동차(EV) 충전기 시장으로의 진출을 앞두고 있습니다.

2) 주요 매출처: 에이텀의 주요 매출처로는 휴대용 전자기기 충전기(TA) 부문에 솔루엠, RFT 등이 있으며, TV부분에는 LG이노텍과 와이투솔루션 등이 있습니다.

3) 자회사: 에이텀의 자회사인 에이텀 비나법인은 트랜스 관련 생산법인이고, 칸타텀은 MLCC 유통을 영위하는 회사로서 영업과 관련하여 지배회사 에이텀 및 에이텀 베트남법인과 내부거래가 없습니다.

2. 평판형 트랜스포머 시장의 특징

평판형 트랜스포머 시장은 최근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됩니다. 

시장 성장의 요인으로는 기술적 우위, 산업 수요 증가 및 전기차 시장 확대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평판형 트랜스포머는 기존의 권선형 방식에 비해 고효율, 저발열, 내습성, 내구도 측면에서 강점을 보이며, 전자기기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TV 등 전자기기의 슬림화 추세와 함께 안정적인 고속 충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평판형 트랜스의 수요도 함께 늘어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 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평판형 트랜스포머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스마트 트랜스포머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10.9% 성장하여 약 6조7798억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3. 에이텀 연구개발 조직

1) 개요

에이텀은 전체 임직원 28명 중 12명, 즉 42.9%에 달하는 인력을 연구소에 배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거의 절반에 가까운 인력이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높은 비율의 연구 인력 배치는 당사가 혁신과 기술 발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또한 연구소는 단순히 인원수만 많은 것이 아니라, 전기/전자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는 에이텀이 연구개발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경험 많은 전문가들의 지식과 노하우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효율적인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인력 구성은 에이텀이 단기적인 이익보다는 장기적인 기술 경쟁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연구개발에 대한 과감한 투자는 회사의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시장에서의 선도적 위치를 유지하려는 비전과 전략을 반영합니다.

2) 연구개발 조직

3) 연구개발 인력 확보 및 유지 방안

에이텀은 연구개발 인력의 확보와 유지를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제도를 통해 임직원들에게 회사의 성장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금전적 보상을 넘어 회사의 성과와 개인의 이익을 연동시켜 임직원들의 충성도를 높이고 장기적인 동기부여를 하는 효과적인 방안입니다.

에이텀은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력 이탈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핵심 인력의 이탈은 연구개발의 지연 등 회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인력 관리 전략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핵심 기술과 노하우의 분산 관리, 지식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개인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에이텀의 이러한 종합적인 접근은 연구개발 인력의 안정적인 확보와 유지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회사의 지속적인 혁신과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II. 연구개발 비용

(단위: 백만원)

구분제8기제7기제6기
자산처리---
비용처리제조원가---
판관비494597439
합계494597439
(매출액 대비 %)3%3%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연례 연구개발활동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기업 부문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3.64%에 달합니다. 에이텀은 3~4% 정도의 연구개발비를 지출하고 있어 평이한 수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III. 연구개발 주요 성과

1. 연구개발실적

에이텀의 개발이 완료되었거나, 진행 중인 연구개발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델개발일정연구기관성과내용
TA 15W 트랜스 PPC 타입2019.2~2020.4 2020.5 양산에이텀상용화몰딩코일과 적층코일이 적용된 15W PPC 타입으로 납품 中
TA 25W 트랜스 PPP 타입2020.1~2020.6 2020.7 양산에이텀상용화몰딩코일이 적용된 15W PPP 타입으로 납품 中
TA 25W트랜스 PSPC 타입2020.7~2020.11 2020.1 양산에이텀, 삼성전자상용화적층코일이 적용된 25W PSPC 타입으로 납품 中
TA 45W 트랜스 PPP 타입2020.12~2021.9 2021.11 양산에이텀, 삼성전자상용화몰딩코일이 적용된 45W PPP 타입으로 납품 中
TA 65W 트랜스 PPP 타입2021.1~2021.6에이텀선행개발몰딩코일이 적용된 65W PPP 타입으로 선행개발
TA 25W/45W/65W 트랜스 PPC 타입2023.06~현재에이텀선행개발몰딩코일과 적층코일이 적용된 고출력 용도의 PPC 타입으로 선행개발
TV PFC 트랜스2021.4~2022.11 2021.11 양산에이텀상용화TV용 트랜스 개발, 납품 중
EV전기차용 트랜스2022.1~현재에이텀개발중EV부품 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 개발 완료를 위한 테스트 단계
EV전기차 충전기용 트랜스2022.10~현재에이텀개발중EV부품 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 개발 완료를 위한 테스트 단계

2. 지적재산권 보유 내역

<국내특허>

순번명칭출원일출원번호등록일등록번호
1평면 코일을 사용하는 전자 소자 및 그를 사용하는 변압기2015.06.1610-2015- 00851562016.05.1210-1622333
2변압기용 2열 평판형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변압기용 평판형 코일 소자의 제조 방법2018.05.2810-2018- 00607582022.04.2910-2394410
3변압기용 평판형 코일 소자의 자동 제조 장치2018.05.2810-2018- 00607602022.04.2910-2394415
44전기자동차의 LDC용 변압기2023.07.2710-2023- 0098536--
45공진 인덕터 일체형 변압기 모듈2023.09.0510-2023- 0117928--
46[전용실시권]코일 부품용 판형 코일 및 코일 부품 제조 방법2016.07.0410-2016- 00839562016.09.2610-1661590

<디자인>

순번명칭출원일출원번호등록일등록번호
1변압기용 코일소자2018.08.1830-2018-00383732019.04.2230-1004078
2변압기용 코일2017.03.2130-2017-0013126 (1-1-2017-0281175-28)2017.09.1930-0924498
3변압기용 코일2017.03.2130-2017-0013127 (1-1-2017-0281179-11)2017.09.1930-0924499
4변압기용 코일2017.06.2730-2017-0029521 (1-1-2017-0616296-13)2018.02.2830-0946856
5변압기용 코일소자2020.01.1030-2020-00012362021.03.3130-1103186
6변압기용 코일2022.11.0130-2022-0044724--
7변압기용 코일2022.11.0130-2022-00447262023.07.1730-1224874

<해외특허>

국가번호명칭출원일출원번호등록일등록번호
중국1평면변압기2020.03.03202010139221.2--
11전기자동차 LDC용 변압기2023.01.12202310041820.4--
미국1A TRANSFORMER2019.11.27No. 16/697,9142023.09.06등록번호 대기
2TRANSFORMER FOR OBC OF ELECTRIC VEHICLE2023.01.09No. 18/094504--
3TRANSFORMER FOR LDC OF ELECTRIC VEHICLE2023.01.09No. 18/094,516--
베트남1TRANSFORMER2020.04.191-2018-01685--

특허권은 연구개발 활동의 중요한 결과물이자 성과 지표로 간주됩니다. 특허 출원 및 등록 건수는 연구개발의 기술적 성과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 중 하나입니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업의 특허성과는 연구개발 및 기술혁신과 양의 관계를 가지고, 기업성과는 특허성과 및 연구개발강도와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즉, 높은 특허강도와 연구개발강도를 보이는 기업일수록 높은 기업성과를 향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기술혁신학회, 기술혁신학회지 9권 1호, 박선영 등)
에이텀도 연구개발의 성과를 특허권으로 입증하는 한편 자체 개발한 기술을 특허로 두텁게 보호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주요연구개발 실적 및 계획

에이텀은 기존의 권선형 트랜스를 대체하는 평판형 트랜스 기술을 개발하여 판매 중에 있습니다. 에이텀의 평판형 기술은 경쟁사 대비 부피 감소, 낮은 발열 온도, 향상된 안정성 등의 장점을 제공합니다.

또한 에이텀은 2020년부터 삼성전자의 1차 벤더로 선정되어 모바일 충전기용 트랜스 제품을 삼성전자와 공동 개발하고, 15W를 시작으로 25W, 45W제품까지 개발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LG이노텍의 벤더가 되어 TV용 트랜스 제품을 개발 완료하고 공급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통해 에이텀은 가전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차용 부품 및 충전기 시장 진출을 위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테스트를 시작하는 한편, 전기차용 트랜스 신제품 생산을 위한 설비를 증설하고 있습니다.

IV. 소결

기술특례상장 제도는 혁신적인 기술력을 가진 기업들에게 자본 시장 진입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입니다. 이 제도를 통해 우리는 연구개발능력이 기업의 성공과 지속 가능한 성장에 얼마나 핵심적인 요소인지 명확히 볼 수 있었습니다.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혁신을 추구하는 기업들은 시장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기술력과 미래 성장 잠재력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기술특례상장을 준비하는 기업들은 단순히 재무적 성과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혁신 역량 강화에 주력해야 합니다.

에이텀은 2차 몰딩 코일 기술, 1차 적층 코일 기술, 브릿지 공정 기술, 직렬 프레스 공정 기술 등의 4가지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특허로 보호하여 기술적 진입 장벽을 구축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기술과 특허를 통해 회사의 가치를 높이고 국내 주요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데에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술 개발과 특허 등록 등을 통해 전기차 시장 등 신규 시장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아 주식시장 상장에 이를 수 있었습니다.

이렇듯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특허 등록은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주식시장 상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향후에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당사가 보유한 핵심기술은 기존 권선형 트랜스의 구조와 생산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슬림 고성능 충전 플랫폼 적용에 유리한 평판형 변압기에 관련된 것으로서, 변압기 내부 중요 부품인 코일에 대한 구조와 제조/양산/공정 관련 원천 기술입니다.

당사가 보유한 핵심기술은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으며, 각 기술들은 특허를 통해 진입 장벽을 구축하였습니다. 핵심기술 두 가지는 2차 몰딩 코일 기술과 1차 적층 코일 기술이며, 다른 두 가지 기술은 2차 몰딩코일을 생산하는 공정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브릿지 공정과 직렬 프레스 공정에 관한 기술입니다.

2차 몰딩 코일 기술은 기존 코일 와인딩에서 요구되는 수작업을 동사가 개발한 프레스 및 사출 성형방식을 통해 최소화함으로서 수작업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품질 불균형 문제 저감, 수율 향상이 가능하게 한 기술입니다. 또한 1차 적층 코일 기술로 기존 일반 권선형 대비 누 설 인덕턴스와 EMI 산포를 개선, 효율 등의 품질을 확보하였고, 설계 다변화가 가능해지고 제품의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면서 PCB 코일을 대체하여 최종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었고 부피도 감소되었습니다.

2차 몰딩 코일을 생산하는 공정 특허의 내용은 공정에 브릿지 공정을 도입하여 양산 시 불량률을 크게 낮춘 기술과, 직렬프레스 공정을 도입하여 병렬 방식을 직렬 방식으로 전환하여 제품의 높이, 발열,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는 기술입니다.

당사의 전력용 트랜스포머는 트랜스포머의 주요한 성능으로 평가하는 EMI, 발열, 효율, 단면적에서 기존 경쟁사 대비 우위에 있는 경쟁력 있는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평판형 트랜스 포머 개발을 통해, 기존에 사용되던 권선형 트랜스포머와 비교시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트랜스포머 시장은 제품의 소형화, 슬림화와 동시에 안정성 수요가 크게 증가하여, 기존의 권선형 트랜스포머를 대체하는 신규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선 당 사가 유일하게 평판형 트랜스포머를 개발, 제조하고 있지만, 기존의 업체도 더 적극적으로 기술 및 제품 개발에 투자할 수 있으며, 또 추가적으로 새로운 신규기업들이 새로운 트랜스포머 구조를 기반으로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경쟁과열로 인하여 가격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당사의 매출 및 수익이 악화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트랜스포머 제품은 가전·전기전자 필수 핵심부품이나, 지난 80여년간 노동집약적인 권선형 모델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한국기업은 값싼 노동력을 기반으로 한 해외기업과의 가격 경쟁력에서 뒤쳐졌습니다. 또한 휴대폰(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고도 화에 따른 고용량 고출력 충전용 트랜스의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면서 기술적인 한계에 직면 하였습니다. 또한, 전기차 시장의 확대로 전기차의 트랜스포머 부품을 위한 안정성 요구가 높아지며, 기존 권선형 트랜스포머에 대한 교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트랜스포머의 고도화에 따른 주요 요구 성능은 기본적인 전력 효율에 더불어, 발열, EMI 차폐, 단면적에 따른 SIZE가 있습니다.

당사는 자체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얻어낸 성과로 2022년 초반부터 국내 주요 자동차 부품 기업들을 대상으로 당사 제품의 우수성을 알리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동사의 제품을 접한 기업들은 기술력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유력기업과 정규 협력업체 등록 직전 단계까지 협력 관계가 이뤄졌으며, 현재는 기술협력을 통해 얻어진 제품을 테스트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에이텀이 보유하고 있는 연구 개발 역량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전기차 전장 부품의 사양과 고객사의 제품 수정 요구 사항 반영이 실시간으로 가능하여 타 OEM 업체에 비해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396 강남빌딩 10층 1003호 | 대표전화 : 02-558-0688 |  팩스 : 02-558-7010
COPYRIGHT©JINSOLLAW ALL RIGHT RESERVED
crossmenuchevron-right